맨위로가기

양군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 시기 탕군에서 유래했다. 전한 시기 양나라로 변경되었고, 이후 양군, 양국으로 이름이 바뀌며 여러 왕조를 거쳤다. 신나라 때는 진정군으로 개칭되기도 했으며, 후한, 삼국 시대, 서진, 남북조 시대를 거치며 존속되었다. 수나라 대에 송주로 개칭되면서 양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2. 역사

기원전 225년, 진나라위나라를 멸망시키고 그 자리에 탕군(碭郡)을 설치하면서 양군(梁郡)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군의 명칭은 군 경내의 탕산에서 따왔으며, 치소는 탕현에 두었다.

기원전 202년 (전한 고제 5년), 팽월이 이 지역에 봉해져 '''양국'''(梁國)이 세워졌다. 그러나 기원전 196년 (고제 11년), 양왕 팽월이 모반죄로 처단되면서 고제의 아들 유회가 양왕으로 봉해졌다. 이후 여후의 조카 여산, 혜제의 아들 유태가 잠시 양왕에 봉해졌으나, 얼마 후 양국은 폐지되었다. 2년 뒤 문제의 아들 유읍과 유무가 차례로 양왕에 봉해졌다. 유무 사후 양국은 다섯 아들에게 분할되었다.

평왕 때 왕후의 난행으로 8개 현이 삭감되었고, 유립 시기에는 잦은 살인으로 5개 현이 추가로 삭감되었다. 왕망신나라를 세우면서 양군은 진정군(陳定郡)으로 개칭되었고, 여러 현의 이름이 변경되었다.

말, 유영이 양왕으로 할거하면서 양국이 다시 세워졌으나, 29년 (후한 건무 4년) 유영의 아들 유우가 살해되고 광무제에게 평정되면서 양군으로 바뀌었다. 79년 (후한 장제 건초 4년) 유창이 양왕으로 봉해지면서 다시 양국이 되었으나, 조위 건국 후 양국은 폐지되고 양군으로 개칭되었다. 232년 (태화 6년) 조체가 양왕으로 봉해지면서 다시 양국이 설치되었다.

265년 (태시 원년), 서진 건국 후 사마융이 양왕으로 봉해졌다. 서진 혜제 시기 진군(陳郡)이 분리되면서 군역이 축소되었고, 영가의 난 이후 후조에 편입되었다.

유송 유유후진, 후연을 공격하여 서진대 예주 상당부분을 수복하면서 후조의 침공으로 폐지되었던 양군이 다시 설치되었다. 신설된 양군은 예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가 457년(유송 효무제 대명 원년) 서주로 소속이 변경되었고, 458년(유송 효무제 대명 2년) 예주로 복귀하였다. 466년(유송 명제 태시 2년)경 회수 이북의 송나라 땅이 북위로 넘어가면서 사실상 폐지되었다.

북위 때 양군은 남연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596년 (개황 16년), 수나라가 송주를 설치하였고, 607년 (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송주는 양군으로 개칭되었다. 621년 (무덕 4년), 당나라왕세충을 평정하면서 양군은 송주로 바뀌고 양군의 명칭은 사라졌다.

'''연혁'''
기원전 225년기원전 202년기원전 178년기원전 144년기원전 116년기원전 106년기원전 97년기원전 41년신말후한초후한~조위
탕군양국
(여국)
양국양국양국예주양국양국양국진정군유영양국예주양군 / 양국
산양국산양군연주산양군창읍국산양군거야군산양군연주산양군 / 산양국
제천국제천군진류군진류군제양국진류군유현→
유수
진류군진류군 / 진류국
제동국대하군대하군대하군동평국유염군동평군동평군 / 동평국
제음국제음군제음군정도국정도국제평군제음군제음군 / 제음국
동군동군동군동군동군동군치정군동군동군


2. 1. 진나라

기원전 225년, 진나라위나라를 멸하고 그 자리에 탕군(碭郡)을 설치하였다. 군의 명칭은 군 경내의 탕산에서 따온 것으로, 군 치소는 탕현에 두었다. 문헌과 출토 자료에서 확인되는 현 목록은 다음과 같다.[25]

이름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안후이성 당산 현 남·허난성 샤이 현 동진나라 봉니 “탕승지인”(碭丞之印)
허난성 융청 시 북동진나라 봉니 “망승지인”(芒丞之印)
하읍下邑안후이성 당산 현진나라 봉니 “하읍승인”(下邑丞印)
안후이성 보저우 시안후이성 보저우시 성 밖 와하교(渦河橋) 가에서 출토된 도분(陶盆) 잔해 착인(戳印)에 “초시”(譙市)
계봉啓封허난성 카이펑 시 계봉고성랴오닝성 다롄시 푸란뎬구 후원대(後元臺) 석곽묘에서 출토된 위나라 병기 계봉과(啓封戈)에 새긴 “21년 계(봉)명(령) 옹공사? 치자, 계봉”(二十一年啓封命令雍工師? 治者, 啓封)
?진나라 봉니 “기승지인”(岐丞之印)
진류陳留허난성 카이펑 시 남동 진류고성장가산한간 질률 중 “진류”(陳留)현
수양睢陽허난성 상추 시 수양고성장가산한간 질률 중 “수”(睢)현
허난성 치 현 어현고성장가산한간 질률 중 “어”(圉)현
옹구雍丘허난성 치 현 옹구고성
외황外黃허난성 민취안 현 외황고성
선보單父허난성 산현전세 전국 위나라 청동기 삽년선보상관정(卅年單父上官鼎) 등
제양濟陽허난성 란카오 현 북동
허난성 상추 시
허난성 위청 현 북
양읍襄邑허난성 쑤이 현서안문물보호고고에서 소장하는 전국 위나라 구리 기물 “구년승광령정” 명문에 “승광”(承匡)
허난성 민취안 현 경계치현(甾縣)으로, 마비백(馬非百)은 진나라의 곡현이 한나라가 일어날 당시 재앙을 많이 겪어 재앙을 의미하는 치로 이름을 고친 것이라 했다.
대량大梁허난성 카이펑 시 북서 대량고지1974년 호남 형양시 당가산 전국 묘에서 출토된 위나라 병기 입삼년대량과 명문 중 “대량”(大梁)
허난성 융청 시 서진나라 봉니 “찬승지인”(酇丞之印)
원척爰戚산둥성 자샹 현 남
창읍昌邑산둥성 쥐예 현 창읍고성
동민東緡산둥성 진샹 현


2. 2. 전한

기원전 202년 (전한 고제 5년), 팽월이 이 지역에 봉해져 '''양국'''이 세워졌다. 기원전 196년 (고제 11년), 양왕 팽월이 모반죄로 처단되자, 고제의 아들 유회가 양왕으로 봉해졌다.[1] 나중에 여후의 조카 여산이 봉해졌지만, 죽은 후 일시적으로 혜제의 아들로 여겨지는 유태가 봉해졌지만, 곧 처형되었고, 잠시 국가는 폐지되었다. 2년 후에 문제의 넷째 아들 유읍, 그 후 문제의 둘째 아들 유무가 봉해졌다. 유무가 죽은 후, 양국은 5명의 아들의 봉국으로 5개로 분할되었다.

평왕 때인 원삭 중에 평왕의 왕후 임왕후의 난행을 문제삼아 양나라에서 8현을 삭감해 10현만 남겨주었다.[13] 원래 양나라 땅인 극벽(棘壁)이 《수경주》에서 극정에 있다고 하는데, 《속한서》 군국지의 주석에서 극정은 패군의 차(酇)현 땅으로 나오므로, 《서한정구지리》에서는 차와 그 근방의 초(譙)·망(芒)·경구(敬丘)·건평(建平) 이상 패군 서북의 5현이 이때 양나라에서 삭감한 땅으로 비정했다.[14]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3만 8709호, 10만 6752명을 관할했다.[15]

원연 중(기원전 12년 ~ 기원전 9년), 양왕 유립이 자주 살인하므로 또 다섯 현이 삭감됐고,[13] 그 결과 치현은 진류군의 관할을 받게 됐다.[16][14]

진나라의 당군을 전신으로 한다. 무제 즉위 후 전국에 주가 설치되자, 양국은 예주에 속하고, , 재, , 몽, , , 하읍, 수양의 8현을 관할했다. 왕망 때, 진정군으로 개칭되었다.[2]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를 따른 것이다.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8현이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탕현碭縣상추시 융청 시 이흑루(李黑樓) 부근탕산이 있는데 무늬 있는 돌이 나고, 무늬 있는 돌을 탕(碭)이라 하므로 이에서 산의 이름과 현의 이름을 따왔다.
치현甾縣상추시 민취안 현 왕교진(王橋鎭) 서남 20리옛 대(戴)나라다.
서추현杼秋縣쑤저우시 당산현 동 문당촌(文堂村) 일대
몽현蒙縣상추시 량위안구 북 몽장사촌(夢牆寺村) 일대획수(獲水)가 치획거(甾獲渠)에서 갈려나와, 북동으로 팽성에 이르러 사수(泗水)로 들어가는데, 양·패·초 3군을 지나고 150리를 간다.
이씨현已氏縣허쩌시 차오현 초천집촌(楚天集村) 일대
우현虞縣상추시 위청현 이민진(理民鎭) 서남
하읍현下邑縣쑤저우시 당산현
수양현睢陽縣상추시옛 주나라 시절의 송나라로 미자 계가 봉해졌다. 우공의 맹제택(盟諸澤)이 동북에 있다.

[15]

2. 3. 신나라

왕망전한을 멸망시키고 신나라를 세우면서, 양군은 진정군(陳定郡)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때 여러 현의 이름도 바뀌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2]

전한
탕(碭)절탕(節碭)
치(甾)가곡(嘉穀)
서추(杼秋)여추(予秋)
몽(蒙)몽은(蒙恩)
기씨(已氏)기선(已善)
우(虞)진정정(陳定亭)
하읍(下邑)하흡(下洽)



또한, 해체된 진류군에서 옹구현(雍丘縣) 동쪽 지역을 편입하였다.[17]

2. 4. 후한

23년(한 경시제 경시 원년), 경시제가 즉위한 이후 유영이 양왕으로 책봉되면서 양국으로 승격되었다. 광무제가 양국을 격파한 뒤 후한의 땅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유영의 아들 유우가 양왕으로 옹립되었으나, 유우 또한 광무제와의 전쟁에서 패하면서 양국이 폐지되고 양군이 설치되었다.[18] 79년(후한 장제 건초 4년) 유창이 양왕으로 책봉되면서 양군에서 다시 양국으로 승격되었다.[19]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기준 양국은 9개 성, 83,300호, 431,283명을 거느렸다.[20]

후한 시대 양국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하읍현下邑縣쑤저우시 당산현두예는 현 서남쪽에 서구정(黍丘亭)이 있었다고 기록했다.
수양현睢陽縣상추시전한대 양의 중심지였는데, 양왕으로 책봉된 유영이 수양에 중심지를 두었다. 그래서 후한대에도 양국의 중심지가 되었다. 현내에 노문정(盧門亭), 어문(魚門), 양양취(陽梁聚)가 있었다. 유영의 출신지이다.
우현虞縣상추시 위청현 이민진(理民鎭) 서남현내에 동정(桐亭), 윤성(綸城)이 있었다.
탕산현碭山縣상추시 융청시 동북 이흑루(李黑樓)부근사기에 따르면 유방이 망(芒), 탕산택(碭山澤) 암석 사이에 숨었다고 한다. 문석(文石)이 생산되었다. 진승의 무덤이 이곳에 있었다.
몽현蒙縣상추시 량위안구 북 몽장사촌(夢牆寺村) 일대제왕세기에는 본현 경내에 북박(北亳), 즉경박(卽景亳)이 있었다고 기록되었다. 그리고 현내에는 몽택(蒙澤)이 있었다.
곡숙현穀熟縣상추시 위청현 서남 곡숙진(穀熟鎭)제후들이 회맹을 했던 신성(新城), 과거 비나라(邳)가 있었던 비정(邳亭)이 현 경내에 있었다.
언현焉縣상추시 저청현 원양진(遠襄鎭)진류군에서 본군으로 내속되었다.
영릉현寧陵縣상추시 닝링현진류군에서 본군으로 내속되었다. 두예는 현 북쪽에 사수정(沙隨亭)이 있었다고 기록했다. 그리고 옛 갈백국(葛伯國)이 있었던 갈향(葛鄕)이 현 경내에 있었다.
박현薄縣허쩌시 차오현 남 25리 토산집촌(土山集村) 일대산양군에서 본군으로 내속되었다. 두예는 몽현 서북쪽에 박성(薄城)이 있고, 중간에 탕왕의 무덤이 있었다.



말에 양왕 유영이 할거하면서 양국의 칭호를 되찾았다. 29년 (후한 건무 4년), 유영의 아들 유우가 살해되고 광무제가 양국을 평정하면서[3] 양군으로 고쳐졌다. 79년 (장제 건초 4년), 여남왕 유창이 양왕으로 봉해져 다시 양국이 세워졌다.[4] 양국은 하읍·수양·우·당·몽·곡숙·기·영릉·의 9개 현을 관할했다.[5]

2. 5. 삼국 시대 ~ 서진

서진 무제 초기에 진군이 본군에 통폐합되었다. 이후 서진대의 양국은 9현 5,096호를 거느렸다.[21] 서진 혜제 시기에 진군이 다시 설치되면서 군역이 진군이 통폐합되기 전 크기로 줄었다.[21] 영가의 난 이후 후조로 편입되었다.[22]

서진 시기 양국의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수양현睢陽縣상추시
몽현蒙縣상추시 량위안구 북쪽 몽장사촌(夢牆寺村) 일대
우현虞縣상추시 위청현 이민진(理民鎭) 서남쪽
하읍현下邑縣쑤저우시 당산현
영릉현寧陵縣상추시 닝링현
곡숙현穀熟縣상추시 위청현 서남쪽 곡숙진(穀熟鎭)
진현陳縣저우커우시 화이양현 회양고성본래 진군의 속현이었다. 혜제 시기에 진군으로 분리되었다.
항현項縣저우커우시 선추현 괴점회족진(槐店回族鎭) 일대본래 진군의 속현이었다. 혜제 시기에 진군으로 분리되었다.
장평현長平縣저우커우시 시화현 동성촌(董城村) 일대본래 진군의 속현이었다. 혜제 시기에 진군으로 분리되었다.
양하현陽夏縣저우커우시 타이캉현본래 진군의 속현이었다. 혜제 시기에 진군으로 분리되었다.
무평현武平縣저우커우시 루이현 묘왕장(廟王庄) 일대본래 진군의 속현이었다. 혜제 시기에 진군으로 분리되었다.
고현苦縣저우커우시 루이현본래 진군의 속현이었다. 혜제 시기에 진군으로 분리되었다.


2. 6. 남북조 시대

유송 유유후진, 후연을 공격하여 서진대 예주 상당부분을 수복하면서 후조의 침공으로 폐지되었던 양군이 다시 설치되었다. 신설된 양군은 예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가 457년(유송 효무제 대명 원년) 서주로 소속이 변경되었고, 458년(유송 효무제 대명 2년) 예주로 복귀하였다. 466년(유송 명제 태시 2년)경 회수 이북의 송나라 땅이 북위로 넘어가면서 사실상 폐지되었다. 유송대 양군은 2현 968호 5,500명을 거느렸고, 예주의 치소였던 여남까지 수로로 350리, 건강까지 수로로 2,000리, 육로로 1,200리 거리였다.[23]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민정비고
하읍현下邑縣쑤저우시 당산현령(令)
탕현碭縣상추시 융청시 동북 이흑루(李黑樓)부근



북위 때 양군은 남연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남연주 양군은 기존 양국의 수현(首縣)이었던 수양에 치소를 두었기 때문에 《위서》에는 치소가 양국성(梁國城)에 있다고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 2현 10,359호 25,995명을 거느렸다.[24]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수양현睢陽縣상추시군의 치소였다.
양읍현襄邑縣상추시 쑤이현호성(胡城)에 치소를 두었다.


2. 7. 수나라 ~ 당나라

진나라의 당군을 전신으로 한다.

기원전 202년 (전한 고제 5년), 팽월이 이 지역에 봉해져 '''양국'''이 세워졌다. 기원전 196년 (고제 11년), 양왕 팽월이 모반죄로 처단되자, 고제의 아들 유회가 양왕으로 봉해졌다.[1]

말에 양왕 유영이 할거하자, 양국의 칭호로 되돌아갔다. 29년 (후한 건무 4년), 유영의 아들 유우가 살해되어, 광무제가 양국을 평정[3]하자, 양군으로 고쳐졌다.

조위가 건국되자, 양국은 폐지되어 양군으로 개칭되었다. 232년 (태화 6년), 원성왕 조체가 양왕으로 봉해지자,[6] 다시 양국이 세워졌다.

265년 (태시 원년), 서진이 건국되자, 사마융이 양왕으로 봉해졌다.[7]

596년 (개황 16년), 수나라가 송주를 세웠다. 607년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어 군이 설치되자, 송주는 양군으로 개칭되었다. 송성·옹구·상읍·영릉·우성·곡숙·진류·하읍·고성·초구·당산·위성·척성의 13개 현을 관할했다.[11]

621년 (무덕 4년), 당나라왕세충을 평정하자, 양군은 송주로 고쳐졌고, 양군의 호칭은 사라졌다.[12]

참조

[1] 서적 漢書』高帝紀下
[2] 서적 『漢書』地理志下
[3] 서적 『後漢書』光武帝紀上
[4] 서적 『後漢書』孝章帝紀上
[5] 서적 『後漢書』郡国志二
[6] 서적 『三国志』魏書武文世王公伝
[7] 서적 『晋書』世祖紀
[8] 서적 『晋書』地理志上
[9] 서적 『宋書』州郡志二
[10] 서적 『魏書』地形志二中
[11] 서적 『隋書』地理志中
[12] 서적 『旧唐書』地理志一
[13] 서적 한서 권47 문삼왕전제17 https://zh.wikisourc[...]
[14]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01
[15] 서적 한서 권28 하 지리지제8 하
[16] 서적 한서 권84 적방진전제54 https://zh.wikisourc[...]
[17] 서적 한서 권99중 왕망전 中
[18] 서적 후한서 12권 열전 제2 왕유장이팽노열전 유영 https://zh.wikisourc[...]
[19] 서적 후한서 50권 열전 제40 효명팔왕열전 양절왕 창 https://zh.wikisourc[...]
[20] 서적 속한서 20권 지 제20 군국2 예주 양국 https://zh.wikisourc[...]
[21] 서적 진서 14권 지 제4 지리지 上 예주 양국 https://zh.wikisourc[...]
[22] 서적 송서 36권 지 제26 주군지 2 남예주 남량태수 https://zh.wikisourc[...]
[23] 서적 송서 36권 지 제26 주군지 2 예주 양군태수 https://zh.wikisourc[...]
[24] 서적 위서 106권 中 지 제2 中 지형지 中 남연주 양군 https://zh.wikisourc[...]
[25] 서적 위서 106권 中 지 제2 中 지형지 中 서주 탕군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